카테고리 없음

쇼팽 유작 Op.Posth 알아보기 / 쇼팽이 마지막으로 작곡한 곡?

C카우 2023. 10. 8. 01:30
반응형

 

 

클래식 음악 제목 Op., Opus 번호 / WoO. 표기 알아보기

클래식 음악을 듣다 보면 작품명에 'No.-', 'Op.-', '-번'으로 표현되는 형태를 자주 보실 수 있을텐데요. Op. 는 Opus의 약자로, 라틴어 '작품'을 의미해요. Opus 번호는 작곡가의 작곡 연도 혹은 출판일

c.classicong.com

>> 먼저 읽어보면 좋은 글


쇼팽 곡 제목의 Op. Posth는 무엇인가?


쇼팽을 듣다보면 Op.Posth라는 명칭이 붙어있는 곡들을 확인할 수 있어요. 

Op. Posth (Posthumous; 死後) 는 쇼팽 사후에 출판된 곡이에요. 쇼팽은 죽기 전에 자신이 출판하지 않았던 곡들은 전부 다 없애버리기를 바랐지만, 쇼팽의 가족들의 요청에 따라 친구였던 폰타나가 쇼팽이 죽기 전에 출판되지 않았던 여러 곡들을 한 번에 묶어서 Op. Posth 란 이름으로 출판했어요.

 

다음은 폰타나가 Op.posth로 묶어서 출판한 쇼팽의 작품들과 작곡 연도를 정리한 표에요. 폰타나가 묶어서 출판했던 Op. posth의 곡들의 번호는 작곡 연도 순서와는 관계 없이 매겨졌어요. 

 

Op. posth. 4, Piano Sonata No. 1 in C minor 1828
Op. posth. 66, Fantaisie-Impromptu in C♯ minor 1835
Op. posth. 67, 4 Mazurkas  1835–1849
Mazurka in G major, WN 26  1833 [1830? 1835?]
Mazurka in G minor, No.2 1849
Mazurka in C major, No.3 1835
Mazurka in A minor, No.4 1846
Op. posth. 68, 4 Mazurkas 1827–1849
Mazurka in C major, No.1 1829
Mazurka in A minor No.2 1827
Mazurka in F major No.3 1829
Mazurka in F minor No.4 1849
Op. posth. 69, 2 Waltzes 1829–1835
Waltz in A♭ major 1835
Waltz in B minor 1829
Op. posth. 70, 3 Waltzes  1829–1841
Waltz in G♭ major, No.1 1832
Waltz in F minor, No.2 1841
Waltz in D♭ major, No.3 1829
Op. posth. 71, 3 Polonaises 1825–1828
Polonaise in D minor, No.1  1825
Polonaise in B♭ major No.2 1828
Polonaise in F minor No.3 1828
Op. posth. 72 1826–1827
Nocturne in E minor, No.1 1827; B.20
Marche funèbre in C minor, No.2  1827
Three Écossaises  1826; B. 12
Écossaise in D major, No.1  
Écossaise in G major, No.2  
Écossaise in D♭ major, No.3  
Op. posth. 73, Rondo in C major  1828
Op. posth. 74, 17 Polish songs *17개의 가곡 1829–1847

 

참고로 사후 출판 작품이 모두 Op.posth 번호로 정리된 것은 아니며, 이때 Op. 번호가 부여되지 않은 사후 출판 작품들은  'B.', 'KK'번호로 부여되었어요. 폰타나가 Op.posth 번호를 부여한 것 이후에, 최근 2001년까지 발견된 쇼팽의 곡들은 쇼팽이 작곡한 연도 순서대로 B. 와 KK으로 표기돼요. 알파벳은 쇼팽의 사후 곡들을 정리한 학자의 이니셜이에요. 

 

Krystyna Kobylańska (폴란드, 1925-2009) - KK

Maurice J. E. Brown (영국, 1906-1975) - B. 

 

예시 살펴보기

Op.posth 66, Fantasie impromptu in C#minor (1835) (즉흥환상곡)

폰타나가 Op.posth 번호를 부여한 작품. 즉흥환상곡은 쇼팽 생전 폰타나에게 헌정되었고, 출판은 하지 말아 달라는 요청으로 사후에 출판된 작품으로 유명해요. 

 

Waltz in A minor, B.150, KK IVb/11, P 2/11 (1843) 

쇼팽 사망 100년쯤 뒤인 1955년에 B.와 KK 번호가 붙여진 왈츠 작품이에요. 가장 쉬운 쇼팽의 왈츠 곡으로 유명해요. 

 

 

유명한 쇼팽 Op. Posth 음악   

Waltz in E minor, B. 56, KK IVa/15  1830
Nocturne in C♯ minor, B. 49, KK IVa/16  1830
Waltz in A♭ major, B. 21, KK IVa/13 1827
Waltz in E♭ major, B. 46, KK IVa/14 1827
Cantabile in B♭ major, B. 84, KK IVb/6 1834
Largo in E♭ major, B. 109, KK IVb/5 1837
Nocturne in C minor, B. 108, KK IVb/8 1837
Sostenuto Waltz in E♭ major, B. 133, KK IVb/10 1840
Waltz in A minor, B. 150, KK IVb/11 1843

 

누구나 들어보았을 쇼팽의 Op. posth 음악을 정리해 보았어요.

 

posth 음악은 쇼팽이 정식으로 출판할 작정으로 작곡한 곡들이 아니기 때문에 대부분 곡의 길이가 짧아 가볍게 들을 수 있고, 복잡한 화음 없이 단순해 보이지만 쇼팽 특유의 아름다운 멜로디가 녹아들어 있어요.

 

 

 

이 곡의 음악 지시어 '안단테 소스테누토'; 천천히 걷는 속도로 충분히 음을 눌러 연주할 것

쇼팽의 Posth 곡 중 하나인 Op.Posth No.21를 들어보세요. 복잡하지 않은 단순한 선율로 진행되면서도 쇼팽 특유의 담담하지만 한 서린 느낌이 마음을 아프게 해요.  


마지막으로 출판한 곡,

마지막으로 작곡한 곡


 

 
 
쇼팽이 원해서 출판한 마지막 곡은 Op.65  첼로와 피아노를 위한 소나타이고(1845-1846), 쇼팽이 죽음 직전에 마지막으로 쓴 곡은 Op.Posth.68 No. 4 (1849)이에요.

 

마지막으로 작곡한 곡은 스케치 형태로 발견된 곡으로 미완성으로 남아있어요. 쇼팽이 작곡한 다른 마주르카들과 형식이나 어투는 비슷하지만, 마지막 작품이라고 하니 쇼팽이 눈물을 머금고 음악으로 전하는 마지막 인사로 들려와요. 대놓고 울기보다는 담담하게 이야기하는 쇼팽의 어투가 마음 깊은 곳에 여운을 남겨요. 

 

39년의 짧은 생을 살았지만 수많은 명곡을 남긴 쇼팽. 한 사람의 인생이 음악이라는 창작물로 계속 살아있고 그 사람의 지나간 삶이 지금까지도 많은 사람들에게 감동을 주고 있네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