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악회는 종종 하나의 큰 이야기를 풀어가듯이 전개돼요. 각 악장은 마치 책 속의 한 장면이나 영화 속의 한 에피소드처럼 연결돼 있어요. 작곡가는 음악을 통해 감정, 이야기, 또는 주제를 전달하려고 노력하죠. 이러한 음악적 이야기를 완벽하게 표현하기 위해서는 악장 간에 작은 휴식 없이 순조롭게 이어져야 해요.
박수 소리는 그 자체로 강한 신호를 전달해요. 악장 간에 박수를 치게 되면 마치 그 부분이 끝나고 새로운 장면이 시작되는 것처럼 느껴져요. 이렇게 되면 음악적 흐름이 끊어져 버리는데, 이것이 곧 클래식 음악회에서 피해야 하는 상황이에요.
음악회는 듣는 이들에게 깊은 감동과 몰입을 선사하기 위한 공간이에요. 박수 소리로 인해 연주자와 청중 간의 마법 같은 연결이 끊어지면, 전체 공연의 흐름이 깨져버릴 수 있어요. 연주자들은 작곡가의 의도를 정확하게 전달하고, 청중은 그 음악에 마음을 열고 빠져들기 위해 노력해요.
그렇다고 해서 음악회가 딱딱하거나 지루한 것은 아니에요. 오히려 악장 간의 부드러운 이어짐이 음악의 흐름을 높여주고, 관객들에게 뜻깊은 경험을 선사해 주어요. 모두가 함께 음악에 몰입하고, 그 속에서 다양한 감정을 공유하는 순간이니까요. 그래서, 클래식 음악회에서는 악장 간에 박수를 치지 않는 것이 보통의 관례로 존중되고 있어요.
가끔은 실수로 박수가 나오는 경우도 종종 있어요. 특히 클래식 음악회에서는 관객들이 감동에 휩싸이다 보면 가끔 뜬금없이 박수가 터져요. 예를 들면, 차이코프스키의 피아노 협주곡 1번처럼 흥겨운 악장이 끝나면 너무 감동적이어서 자연스럽게 박수가 터지는 때가 있기도 하지만, 일반적으로는 박수를 자제하고 3악장이 끝난 뒤에 치는게 맞아요.
하지만 악장 간에 박수가 나오는 것을 유도하는 경우도 있어요. 일반적으로는 악장 간의 연결이 자연스럽게 이뤄지는데, 그렇다고 해서 항상 박수가 금지된 것은 아니에요. 특별한 경우나 특유의 분위기를 조성하기 위해 악장 간에 박수가 들어갈 수도 있어요. 다만, 이는 작곡가의 의도나 연주의 특별한 결정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일반적인 규칙은 아니에요.
일부 클래식 음악 작품에서는 특별한 상황이나 분위기 전환이 필요할 때 악장 간에 박수가 나올 수 있어요. 또한, 일부 현대 음악 작품이나 실험적인 클래식 작곡가들은 의도적으로 박수를 활용하여 작품의 일부로 편입하기도 해요. 그렇게 되면 악장 간에 박수가 들어갈 수 있어요.
정리하자면, 악장 간에 박수가 나오는 것은 예외적인 상황이지만, 특정 작품이나 특별한 공연에서는 박수가 실수로, 혹은 의도적으로 포함될 수 있어요.
같이 보면 좋은 글
> 클래식 공연 에티켓과 복장 알아보기
클래식 공연 관람 에티켓과 복장 알아보기, 박수는 언제?
오늘은 간략하게 클래식 공연 관람 에티켓을 적어보려고 한다. 클래식 공연장이라고 해서 격식을 차릴 필요까지는 없지만 모두가 음악을 집중해서 들으러 가는 장소인 만큼 최소한의 에티켓은
c.classicong.com
> 클래식 음악 제목 Op., Opus 번호 알아보기
클래식 음악 제목 Op., Opus 번호 / WoO. 표기 알아보기
클래식 음악을 듣다 보면 작품명에 'No.-', 'Op.-', '-번'으로 표현되는 형태를 자주 보실 수 있을텐데요. Op. 는 Opus의 약자로, 라틴어 '작품'을 의미해요. Opus 번호는 작곡가의 작곡 연도 혹은 출판일
c.classicong.com